본문 바로가기
CS

오토마타

by 남생이야 2024. 5. 2.

 

오토마타란?

 " 일종의 FSM이며, 자기 스스로 상태를 체크하고 전이하는 상태 기계이다. "

 

오토마타(Automata)는 오토마톤(Automaton의 복수형이다.

 

  이산 시간 동안 주어진 입력에 의존해 작동하는 수학적인 기계라고 한다. 우리말로 변환하면 자동 기계라고 하며 오토마타를 이용한 이론이 있는데 이것이 오토마톤 이론이다. 

이산 시간 - 시간 변수가 특정 지점에서만 값을 갖는 것을 의미

 

 오토마타는 일정 주기마다 기호 또는 문자를 하나씩 입력 받으며 입력받은 문자는 '알파벳'이라는 정해진 집합의 한 원소이다. 그리고 입력받은 일련의 문자를 '문자열'이라고 한다. 

 

  오토마타는 유한한 상태를 갖고, 입력을 받으면서 이에 따라 일정하게 상태를 전이하면서 출력을 내놓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유한한 상태를 오토마타를 유한 오토마타 또는 FSM(Finite State Machine)이라고 한다. 

 

 

오토마톤 이론

 오토마톤 이론이란 오토마톤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대상의 어떤 기능에 주목하여, 입력과 내부 출력의 신호의 상호관계를 수학모델로 옮기고 수학적으로 결론을 유도하는 이론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86%A0%EB%A7%88%ED%83%80_%EC%9D%B4%EB%A1%A0

 

오토마타 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토마타 벤 다이어그램 (각 레이어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의 예. S1, S2는 상태이고, 1과 0은 기계가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문

ko.wikipedia.org

https://ccsuniversity.ac.in/bridge-library/pdf/mca-Automata-Theory-Introduction.pdf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D(Data Driven Developing)  (0) 2024.05.05
CBD(Component Based Developing)  (0) 2024.05.04
FSM  (0) 2024.05.01
직렬화(Serialization)  (0) 2024.04.29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0)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