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허수(Imaginary Number)

by 남생이야 2024. 5. 9.

허수란? 

  어떤 이차방정식은 실수해를 갖고 있지 않는다. x² = -1, 즉 x의 제곱이 -1이 되는 해는 일반적으로는 찾을 수 없다. 그러나 복소수계라는 숫자 계열에선 해당 방정식의 해가 존재한다.

 이를 허수라고 하며  허수는 실질적인 값이 존재하지 않고, i로 표기한다. i ²  = -1 이 성립되는 수이며 -1의 제곱근이라고 볼 수 있다. 

 

i에 대하여 성립하는 조건

i  = √-1 

i ² = -1

 

모든 수의 0승은 1이다. 허수 i의 0승도 1이다. 

  ^0 = 1

  ^1 = i 

  ^2 = -1

  ^3 = i  ^2  *  i = -1 * i  = - i   

  ^4 = i  * i  ^3 = i  * - i  = 1

허수 i를 0제곱부터 계산하게 되면  1, i , -1, - i 순으로 반복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순허수 

는 허수단위의 곱을 이용해서 순허수들을 무하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복소수는 실수와허수를 포괄하는 수를 말하며 a+ bi(단 a, b는 실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a를 실수부, b를 허수부라고 한다.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원수  (0) 2024.05.14
오일러 공식  (0) 2024.05.13
복소수  (0) 2024.05.12
이원수(dual number)  (0) 2024.05.11
구면좌표계  (0) 202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