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 체계에서 χ²= -1 은 해가 없다. 그러나 허수 단위에선 해당 방정식의 해는 존재한다. 이를 허수 i 로표기하며
i ² = -1 이 성립한다.
그리고 이 허수들과 실수를 합쳐서 2 + 7i 같은 수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실수와 허수과 공존되어 표시되는 수를 복소수라고한다. 복소수의 형태는 a+bi로 적을 수 있는 모든 수이며 i는 허수단위이고 a와 b는 실수 이다.
a + bi 일 때,
a는 실수 부분 bi는 허수부분이라고 칭한다.
켤레 복소수
켤레복소수란, 복소수 z = a+bi(a, b는 실수, i = √-1)에 대하여 허수 부분의 부호만 다른 복소수 a-bi를 z의 켤레복소수라고 한다. 기호는 아래와 같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0306&cid=58944&categoryId=58970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원수 (0) | 2024.05.14 |
---|---|
오일러 공식 (0) | 2024.05.13 |
이원수(dual number) (0) | 2024.05.11 |
허수(Imaginary Number) (0) | 2024.05.09 |
구면좌표계 (0) | 2024.05.08 |